몸이 약해서
겨울만 되면 감기에 잘 걸립니다.
그래서 인터넷과 백과사전을 찾아보니
감기, 변비, 결석 예방 등에 관한 다양한 의학 정보가 있습니다.
[생각해 볼 일]
1.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정보는 무엇입니까?
-. 감기 예방에 관한 지식(정보)입니다.
2. 변비, 결석, 콜레스트롤과 같은 정보는 지금 나에게 필요합니까?
-. 필요하지 않지요. 이러한 정보(지식)을 쓰레기 정보라고 합니다.
3. 지금 내가 수집한 정보로 감기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쌀과 쑥을 이용한 예방법을 실천에 옮깁니다.
-. 감기 예방에 좋은 쌀을 구하는 방법
-. 쌀과 쑥을 활용해서 음식을 만드는 방법
-. 쑥떡을 하는 방법
-. 쑥을 구하는 방법 등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겠지요.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해서 감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활용하면 좋겠지요.
이러할 때
이러한 정보의 활용을 정보화라고 합니다.
4. 정보화와 창의력 지혜는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을까요?
5. 우리 주변에서 내가 실천하고 있는 정보화(=창의력=지혜로운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분수의 덧셈 규칙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2) 기상청 사이트를 활용하여 내일 날씨를 알아 보니 오후에 비가 온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우산을 가지고 등교하였습니다.
3) 매일매일 친구의 잘하는 점을 한가지씩 찾아 메모하여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친구와 함께하는 시간이 차츰차츰 즐거워졌습니다.
4) 여름입니다. 아침 일찍 등교하여 교실 창문을 활짝 열어 환기를 시켰습니다. 기분이 매우 좋아집니다.(산소가 충분해졌지요.)
5) 유산균이 건강에 좋다고합니다. 김치에 유산균이 많이 있찌요. 꾸준히 김치를 먹었더니소화도 잘 되고, 피부도 깨끗해졌습니다.
6) 물고기를 만졌더니 손에서 비린내가 납니다. 쑥을 뜯어 손을 씻었더니 냄새가 싸~악 지워졌습니다.
7) 매일 매일 나에게 덤벼드는 동생이 밉습니다. 오늘도 나에게 화를 내며 덤빕니다. 동생의 입에 눈깔사탕 하나 집어 넣어 주었습니다. 동생이 빙긋이 웃습니다. (참으로 지혜로운 일이지요.)
많지요. 우리가 생활 속에서 실천에 옮기고 있는 정보화=창의력=지혜로운 일들이 너무 많아 이야기로 다 표현할 수 없지요?
그러한 우리 친구들이
참, 멋스럽습니다.
^^*
'교실이야기 > 창의개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상식자료실 (0) | 2011.07.01 |
---|---|
개념해체적 대화 기법 (0) | 2010.12.16 |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0) | 2010.11.01 |
생각의 차이_문화의 차이<출처 : 사랑밭 새벽편지> (0) | 2010.08.02 |
정보와 첩보의 구분 (0) | 201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