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수자료실/수업자료

학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학습지도

학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학습지도


◎수업은 전인교육의 장이다.

  ☞ 수업을 통하여 예절교육 인성교육 창의성 교육 사고력을 길러진다.

  ☞ 아이들 중심의 학습을 통해 자신감, 의욕, 흥미를 느끼도록 한다.

◉지금의 아이들이 왜 학습하는 것을 즐겁게 생각하지 않는가?

  ☞학생주도가 아니라 교사 주도락서

  ☞스스로 터특하고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가르쳐 주니까

  ☞수업자가 듣는자. 관람객, 방청객이니까

◉수업에 재미가 있으려면

  ☞교사가 아동 중심의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고 활동의 주체자로 만들어야 한다 해결했을 때의 느끼는 즐거움을 맛보게 한다.

  교사가 가르치던 것을 아이들 스스로 하게 하는 활동을 할 것

  (예) 어린아이 걸으려고 하는 아동 스스로 할려고 함

  ☞어떻게? 아이들이 실제 활동을 해서 해결하기 좋은 것 흥미를 느끼는 제재를 골라내어 가르친다. 주제 선정해서 아이들의 지적인 호기심을 채울 수 있도록 해 보아라

 즉 교재연구를 잘하여라(배정된 시간대로 보다는 교사 나름의 조절) 교사가 생각을 확실하게 해서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 수업이다.

  ☞교사는 가르치려고 하지 말라 - 교사의 이런 생각을 바꿔라 아이들에게 어떤 능력을 키우고 어떤 사고를 시킬 것인가를 생각해라 교과서의 량은 정보 제공이다.

  ☞공부할 문제 내걸기

 

◎학기초 학습 분위기 형성

 ☞ 학급 경영관을 말하라 (관심과 기대가 많다.)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자신감을 갖게한다. 아이들에게 기대치를 갖게한다. 공부해서 못할 놈 없다. 무슨이야기도 할 수 있도록 해라

아이들이 한말 비웃지 말고 잘보 떠든 사람 없도록 해야 한다.

 ☞자기 생각을 소중히 여겨 내 생각을 말하도록 함

 ☞교과별 학습 방법의 학습 훈련

  스스로 예습복습, 자기학습 평소에도 그렇게 해야 한다

 

 ☞창의성 인성교육은 수업 학급경영안에서 이루어진다. 기다리고 인내하고 아이들이 하도록 배려해 줘야 한다.

 아이들의 지식의 성취는

 읽는 것 10%, 듣는 것 15%, 경험을 통해서 80% 앎

 그래서 아이들에게 학습 경험을 시켜줘야 한다. 서툴고 까갑하더라도 하나라도 하도록 해야한다.


 어린이들의 학습 스타일

 교실형 수업 스타일 - 강의 설명  언어적 전달(10%)

 대화형 학습 스타일 - 이야기 대화 20%

 실험 관찰 학습 스타일 - 실제 조사 대화 실험관찰 행동을 통해 함(에디슨형)40%

 감각형 학습 스타일(모짜르트형) 30%


 아이들은 학습스타일에 맞을 때 관심을 표명한다.

☞ 결론적으로 어린이 중심의 수업을 해라, 아이들의 개성 그 사람의 생각을 살려주고 개인차에 대응하는 수업 자기 성향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해줘야 한다.

 기를 살려줘라 -칭찬하고 감정을 느끼게 하라


◈ 학습 의욕 증진의 6가지 방법

  ㅇ칭찬(격려) - 기를 살리고 칭찬꺼리를 찾아라

  ㅇ성장을 자극해서 함께 기뻐하라

  ㅇ오반응 할 때가 찬스다. 잘못 말 했을 때 그 내용을 가지고 좋은 결과를 얻도록 하라

  ㅇ할수 없다는 생각을 불식 시켜라 (자신감을 갖게 한다.)

  ㅇ수업을 재미있게 해라 - 어린이 중심의 수업 (스스로 행새서 결과를 도출했을 때의 기쁨 학습자 하나하나를 그렇게 해 줘라)

 아르키메데스 부력의 원리 발견 인류최초의 스트립쇼

  ㅇ틀린 답을 말해 보게 한다.(소중한 것이다. 스스로 생각해 낸 것이 소중한 것이다. 특히 과학에서는 틀린 답을 말해 보게 하고 시행착오하

는 수업을 해야 한다. 그래서 많이 알게 된다. 10번해서 틀리면 폭넓은 지식을 알고 1번해서 정답을 알면 그것만 알게 됨)

 

◎학습 문제를 어떻게 줄 것인가?

 교과서 문제를 그대로 주지 않고 아이들이 접할 수 있는 문제로 바꿔서 줘야한다. 교과서의 제재를 재미있게 흥미를 갖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줘야 한다.

교재의 내용을 아이들 수준에 맞게, 아이들 관심사에 맞게 해 줘야 한다.

 예를 들어 산소를 발생시켜 성질을 알아보자, 공기의 무게를 알아보자. 식물의 잎에서 만들어진 양분을 알아보자 자석주위에 생각 자기장을 알아보자 이렇게 문제를 제시하면 안됨 탐구하기가 어렵다.

 교사가 문제를 만들어서 줘야 한다. 실험관찰에 나와있는 실험 방법을 넣어서 양팔저울의 양쪽에 공기풍선을 달아   ~ 양팔저울은 어떻게 될까?

말로, 그림으로, 개조식, 글과 그림으로 학습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 실험방법을 문제해 해서 준다.

 과학과에서 학습문제를 잡을 때 아이들에게 거짓말을 시키는 경우가 많다.-자료를 관찰해서 학습 문제를 잡아보자 (실험으로 증명이 되지 않음) 용도를 아는 경우는 제외하고는 거의 거짓말을 시킴 관찰해서 학습문제를 잡는데는 도와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아이들이 관찰해서 학습문제를 잡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과학과에서는 교사가 학습문제를 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학습문제는 의문형 서술형으로 학습방법이 포함되고 실험방법이 내포되고 실험 관찰의 내용을 포함시켜준다. 또한 학습 문제에서 어려운 것은 알려준다.